철새 기러기 이야기

by 나라대장 posted Apr 05, 20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중학교 도덕 지도서를 보다가 좋은 글귀 있어서 올립니다.



겨울에 당신이 철새 기러기들이 겨울을 나기 위해 V자를 그리며
남쪽으로 날아가는 것을 본다면, 그들이 왜 그런 형태의 대열을 이루며
날아가는지에 대한 과학이 발견한 사실들을 떠올릴 것이다.

한 마리 한마리의 기러기가 날개를 저으면
바로 뒤에서 따라오는 새를 위해 상승 기류를 만들어 준다.
V자를 그리며 날아감으로써 전체 기러기 무리는 한 미리의 기러기가
혼자서 날아가는 것 보다 최소한 71%의 더 넓은 거리를 날 수가 있다.

사람도 이와 마찬가지로 공통의 방향을 가지고함께 일하면
훨씬 더 빠르고 쉽게 목적지에 이를 수 있다.


서로의 추진력에 도움을 주고 받으며 여행을 하기 때문에
한 마리의 기러기가 대열에서 이탈하면,
그 순간 그 기러기는 대기의 저항력을  느낀다.
그래서 기러기는 재빨리 대열에 합류한다.
앞서가는 새의 추진력에 도움을 받기 위해서다.

만일 우리가 기러기만큼의 분별력이라도 가지고 있다면,
우리는우리와 같은 길을 향해 나아가는
사람들과의 대열에 합류하려고 할 것이다.

대열의 맨 앞에서 날아가는 기러기가 지치면
뒤쪽으로 물러나고 금방 다른 기러기가 앞장선다.
사람이든 기러기든 힘든 일은
서로 돌아가며 맡는 것이 현명한 일이다.

뒤쪽의 기러기들은 앞서 가는 기러기들이 속도를 유지하도록
힘을 북돋우기 위해 계속해서 울음소리를 낸다.

우리가 뒤쪽에서 부터 격려의 말을 들을 때
우리는 어떤 메세지를 받는가?

마지막으로, 이것이 가장 중요한 일인데,
어떤 기러기가 병에 걸리거나 사냥꾼의 총에 부상을 입어 대열에서 낙오되면
두 마리의 다른 기러기가 그 기러기와 함께 떨어져
그 기러기가 지상에 내려갈 때까지 도와 주고 보호해 준다.

두 마리의 기러기는 낙오된 기러기가
다시 날 수 있을 때까지, 아니면 죽을 때까지 함께 머문다.
그런 다음에야 두 마리의 기러기는 하늘로 날아올라
다른 기러기들의 대열에 합류하거나 자신들의 대열을 따라 잡는다.

만일 우리가 기러기만큼 분별력이라도 있다면,
우리도 그와 같이 서로 의지할 수 있을 것이다
.

<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의 이야기 중에서>



한국탐험연맹이라는 무리 속에서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어떤 모습을 갖추어야 할 것인가를 생각할 때,
철새 기러기들이 우리들에게 많은 답을 알려주는 것 같습니다。

항상 발전 하는 한국탐험연맹이 되길 빕니다。